울산버스 파업 노선 총정리

🚍울산버스 파업 노선 총정리

📌울산시민 교통 대란…버스파업 현실화

2025년 6월 7일, 울산광역시의 시민들을 충격에 빠뜨린 대규모 시내버스 파업이 현실화되었습니다.
6년 만에 다시 찾아온 이번 파업은 전체 시내버스의 80%가 멈춘 초유의 사태로, 시민들의 출퇴근·등하교길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울산은 지하철이 없는 도시이기 때문에 시내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라는 점에서 파급력은 더욱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업 규모, 영향, 대체 교통수단, 그리고 파업의 배경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립니다.
👉 울산버스 파업 노선 확인하기



🔍본론

1. 🛑 파업 규모와 노선 영향

  • 전체 시내버스 889대 중 702대(약 80%) 운행 중단

  • 187개 노선 중 105개 노선이 멈춤

  • 도심과 울산역을 잇는 리무진버스도 전면 중단

  • 운행 유지 노선

    • 직행좌석버스: 4개 노선(총 18대)

    • 마을·지선·마실버스: 78개 노선(총 169대)

특히, 중앙도심과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주요 노선 다수 중단되어 시민들의 불편이 극심합니다.


2. 🚧 시민 불편 및 대체 교통수단

울산시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아래와 같은 비상교통대책을 가동 중입니다:

  • 승용차 요일제 해제: 차량 혼잡을 줄이기 위한 임시 조치

  • 택시 운행 확대 요청: 법인·개인택시에 운행 확대 협조 요청

  • 공영 및 공공기관 주차장 무료 개방

  • 실시간 버스 정보 제공: 울산시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통해 대체 노선 안내

  • 학교 및 기업에 출퇴근 시간 조정 권고

그러나 택시 수급 부족출근길 혼잡은 여전히 시민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습니다.


3. ⚠️ 파업의 원인과 배경

이번 파업의 직접적인 원인은 2024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 결렬입니다.

  • 노조 측 요구

    • 상여금 포함 기준 변경에 따라 총임금 10.47% 인상 요구

    • 부산 버스노조 사례를 기준으로 삼음

  • 사측 입장

    • 인건비 부담 증가로 인한 재정적 한계 주장

    • 시 재정 지원도 한계에 도달

  • 교섭 경과

    • 18차례 교섭과 조정회의에도 합의 실패

    • 대법원 판결(2023년 12월) 이후 통상임금 산정 방식이 쟁점

울산 시내버스는 민간업체가 운영하고, 울산시가 적자를 일부 보전하는 ‘재정지원형 민영제’ 구조입니다.
2024년에는 무려 1,176억 원이 시 재정에서 지원되었으나, 추가 인상은 부담이라는 입장입니다.

000 


🧾결론: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빠른 합의 절실

울산 시내버스 파업은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시민 생활 전반에 큰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하철이 없는 도시 특성상 대중교통의 공백은 더 치명적이죠.
빠른 시일 내에 합의가 이루어지고, 시민들의 일상이 회복되길 바랍니다.

👉 실시간 파업 노선 확인하기
👉 울산시 교통정보시스템 바로가기


❓Q&A

Q1. 어떤 노선이 파업 중인가요?

A. 전체 187개 노선 중 105개가 운행을 중단했으며, 특히 중심지와 외곽을 연결하는 노선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Q2. 대체 교통수단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울산시청, 교통정보시스템,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실시간 운행 여부 및 대체 수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마을버스나 마실버스는 운행하나요?

A. 네, **노조가 없는 78개 노선(169대)**는 정상 운행 중입니다.

Q4. 언제쯤 정상화될까요?

A. 아직 노사 간 입장 차가 크기 때문에, 조속한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기화 가능성도 있습니다.

Q5. 리무진버스는 운행하나요?

A. 울산역과 도심을 오가는 리무진버스도 운행 중단되었습니다.


📢 정부 혜택 정보

🎉 놓치지 마세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혜택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