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계산법 한눈에 정리!

주휴수당 계산법

📌 "일한 만큼 제대로 받자!"

주 15시간 이상 열심히 일했는데, 주휴수당 못 받는다면 억울하겠죠?
많은 분들이 아르바이트나 단시간 근무를 하면서도 **'주휴수당'**에 대해 정확히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의미부터 계산법, 지급 요건,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전부 알려드립니다.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기준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게요.


🔍 주휴수당, 알고 챙기자!

✅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일수를 모두 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
즉,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는 쉬면서도 돈은 받으라"는 취지죠!

  • 유급휴일: 쉬어도 임금이 지급되는 날

  • 주휴수당: 그 유급휴일에 해당하는 임금


⏱ 주휴수당 지급 조건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1. 주당 근로시간 15시간 이상

  2. 한 주간 소정근로일 개근

  3. 1주일 동안 근로관계 유지

💡 중요 팁:
지각·조퇴는 개근에 영향을 주지 않아요. 단, 결근은 안 됩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근로시간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집니다.

✔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

  • 계산식: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 예: 1일 8시간 × 10,030원 = 80,240원

✔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 계산식: (1주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 예: 주 24시간 근로 시
    → (24 ÷ 40) × 8 × 10,030원 = 48,144원


📊 계산 예시

근로 형태 계산식 주휴수당
주 5일, 하루 8시간 8시간 × 10,030원 80,240원
주 3일, 하루 5시간 (15시간 ÷ 40) × 8시간 × 10,030원 30,090원
주 4일, 하루 6시간 (24시간 ÷ 40) × 8시간 × 10,030원 48,144원

🏢 고용 형태에 따른 주휴수당 처리

  • 월급제: 주휴수당이 월급에 포함된 경우가 많음

  • 포괄임금제: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해야 함

  • 단시간 근로자: 소정근로시간에 비례해 계산

  • 5인 미만 사업장: 무조건 적용됨!


🧾 주휴수당, 당당히 요구하세요!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꼭 기억하세요👇

  • 주 15시간 이상 + 개근 시 반드시 지급

  • 임금에 포함 시에도 계약서 명시 필수

  • 미지급 시 최대 2천만원 벌금 또는 2년 이하 징역

💡 아직 헷갈리신다면?
👉 알바천국 주휴수당 계산기


❓ Q&A: 자주 묻는 질문

Q1. 지각이나 조퇴를 하면 주휴수당 못 받나요?

A. 아닙니다! 지각·조퇴는 개근 요건에 포함됩니다.

Q2. 격일제 근무자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 하루 소정근로시간의 절반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Q3. 수습 기간에는 주휴수당이 없나요?

A. 아니요! 조건을 충족하면 수습 중에도 지급됩니다.

Q4. 주휴수당을 시급에 포함시킬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계약서에 반드시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Q5. 중도 퇴사자도 받을 수 있나요?

A. 1주간 근무를 개근했다면 퇴사 전에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 혜택 정보

🎉 놓치지 마세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혜택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