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톡 월세 환급 신청 헷갈릴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분들이 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하려고 하지만, 복잡한 절차와 낯선 용어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자리톡을 통해 환급을 시도했는데, 화면이 자꾸 바뀌거나 이사를 여러 번 했다면 더 헷갈릴 수밖에 없죠. 이 글에서는 자리톡과 홈택스를 연계한 월세 환급 신청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자리톡은 무엇인가요?
**자리톡은 홈택스 연말정산을 보조하는 ‘입력 도우미 서비스’**입니다.
즉,
자리톡에서 신청한다고 해서 바로 국세청 환급이 되는 건 아닙니다.
실제 환급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진행되며, 자리톡은 정보를
정리하고 자동으로 홈택스로 연동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자리톡 월세 환급 신청 순서
-
자리톡 접속 (앱 또는 웹사이트: https://www.jaritalk.com)
-
본인 인증 후 "월세 환급 신청" 메뉴로 이동
-
정보 입력 항목
-
과거 거주지 주소 (전입신고된 주소 기준)
-
계약 기간, 월세 금액
-
임대인 이름 및 연락처
-
임대차계약서 사진 또는 스캔본
-
월세 송금 내역 (통장 캡처 가능)
-
✅ 이사를 여러 번 했다면?
2024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거주했던 월세방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2019년~2023년의 이전 거주는 이미 지난 연도 정산 대상이라
신청이 불가능해요.
(※ 단, 종합소득세 ‘수정신고’를 통해 예외적으로 신청 가능할 수 있음)
✅ 홈택스 연결되는 건 정상입니다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페이지로 자동 이동합니다.
만약 ‘경정청구’ 문구가 뜬다면?
→ 이전 연도에 누락된 신고를 수정하는 화면입니다. 걱정 마세요, 자연스러운
절차입니다.
✅ 진짜 환급은 홈택스에서!
자리톡은 단지
서류를 정리하고 자동 입력해주는 도우미 앱입니다.
실제 환급은 홈택스에서 본인이 직접 최종 제출해야 확정됩니다.
홈택스 로그인 → [My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 월세 세액공제 항목
확인
필요 시, 임대차계약서, 등본, 이체내역 등을 첨부해야 합니다.
✅ 한 줄 요약!
자리톡은 홈택스로 정보 넘겨주는 정리 앱일 뿐,
실제 환급 신청은 홈택스에서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이 글이 헷갈리는 월세 환급 절차를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사 여러 번 하신 분도, 화면이 계속 바뀌어 혼란스러우셨던 분도 이제 정확한 순서를 알고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