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월 100만 원씩 3년간 적금을 붓는다면 얼마나 모일지 궁금해하십니다. 단순 적금으로는 약 188만 원의 이자가 붙지만, 절세 계좌를 활용해 ETF에 투자할 경우 최대 1169만 원까지 불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 영상에서는 ‘광화문 금융’ 멘토가 실제 사례와 데이터로 그 차이를 보여주며 누구나 실천 가능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돈 모으기의 첫걸음: 신용카드 말고 통장 쪼개기
신용카드 사용을 줄여야 돈이 모입니다.
카드사 출신 분석가인 강사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카드사의 수익에 기여하는 구조로 돈을 잃게 된다고 지적합니다.
통장 쪼개기는 자신의 소비를 인지하고, 자동화된 저축 시스템을 구축하는 첫걸음입니다.
3년 투자 계획의 힘: 적금이 아닌 투자로
"3년 동안 눈 돌리지 말고 목돈을 모으자"는 조언에는 두 가지 시사점이 있습니다.
1. 단순 적금보다 투자로 자산을 불리자.
2. ETF 투자라면 초보자도 가능하다.
예시:
- 월 100만 원씩 3년 적금 → 188만 원 이자
- 일반 주식계좌 ETF 투자 → 약 741만 원 수익
- 절세 계좌 ETF 투자 → 약 1169만 원 수익
ETF 추천: 누구나 가능한 장기 투자
2030 세대:
→ ISA 계좌 + 에이스 미국 S&P500 ETF(360200)
→ 월급날 자동이체 + 자동 매수
→ 주가 등락 무시하고 ‘적금처럼’ 꾸준히 매수
4050 세대:
→ 연금저축계좌 +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402970)
→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수익 추구 가능
이렇게 ETF와 절세 계좌를 결합한 전략은 낮은 리스크로 장기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투자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면?
"너무 어렵고 복잡해서 못 하겠어요..."
이런 생각이 드신다면 딱 10만 원부터 시작해 보세요.
작게 시작해서 ETF 투자 수익을 직접 경험하면, 자연스럽게 자신감과 동기부여가 생깁니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고 하지 마세요. 중요한 건 지금 시작하는 것입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다만 더 늦지 않기를 바랍니다
돈을 모으는 일이 어렵지 않고, 재미있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해보세요.
무작정 절약하고, 복잡한 주식 공부를 하기보다는,
검증된 방법을 단순하게 실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지금 여러분이 해야 할 일은 단 하나,
“시작하기”입니다.